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민생소비쿠폰 2차, 지급시기, 지급액,신청방법까지

by mynews2637 2025. 8. 11.
반응형

 

 

 

민생소비쿠폰 2차, 가을에 꼭 챙기세요
1차 지급이 여름 소비를 달궜다면, 2차는 가을(9~ 10월) 가계에 한 번 더 숨통을 틔워줄 지원입니다. 정부는 2차에서 전 국민의 90%에게 1인당 10만 원을 추가 지급한다는 큰 방향을 확정했고, 상위 10% 제외 기준(건강보험료, 고액자산 특례 등)은 8~

9월 중 세부 공지로 마무리될 예정입니다. 최신 공지와 함께, 지금 기준에서 꼭 알아둘 핵심만 콕 집어 드릴게요.



지급시기·대상 한눈에

 

2차 신청·지급 기간: 2025.09.22(월) ~ 10.31(금). 1차는 7.21~9.12였고, 2차는 위 기간에 진행됩니다. 기한 내 미신청·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하니 알림 설정은 필수! 사용기한은 2025.11.30(일)까지입니다.

지원 대상(원칙): 전 국민 90%. 즉, 상위 10%는 2차에서 제외됩니다. 다만 ‘상위 10%’의 세부 판정(예: 직장·지역가입자 건보료 반영, 1인·맞벌이 가구 특례)은 관계부처 협의 후 별도 공지됩니다. 공지 나오면 카드사·지자체 안내가 즉시 반영되니 확인만 잘 해도 놓치지 않습니다.

왜 주나요? 소비 활력을 높이고, 소상공인·자영업자 매출확대 효과를 노린 정책입니다. 연 매출이 작은 동네 가게로 돈이 돌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입니다.

 

지급액·혜택 정리(1차+2차 합계 감 잡기)

 


2차만 보면: 대상에게 일괄 10만 원 추가 지급.

1차+2차 합계(참고): 정부가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

일반 국민: 25만 원(비수도권 거주 시 28만,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30만)

차상위·한부모: 40만 원(비수도권 43만, 농어촌 45만)

기초생활수급자: 50만 원(비수도권 53만, 농어촌 55만)
※ 지역 가산(3만/5만)은 1차에만 적용된 추가분이며, 위 금액은 1·2차 총합 기준입니다.

사용기한 주의: 1·2차 모두 2025.11.30(일)까지 사용 가능, 이후 잔액 자동 소멸. 긴 기간 같아도 막판 몰리면 가맹점 혼잡·앱 지연이 생깁니다. 여유 있게 분할 사용하세요.



 

신청방법·사용처·주의사항(실전 가이드)

 


신청 채널

온라인(권장): 이용 중인 카드사 앱/홈페이지에서 ‘민생회복 소비쿠폰’ 메뉴 진입 → 본인인증·지원금 확인 → 신청 완료. 간편결제(토스/카카오페이/네이버페이)와 인터넷전문은행 앱도 지원. 알림(LMS)이 오므로 기기 번호만 최신으로 유지하세요.

오프라인:

주소지 주민센터: 선불카드/지역사랑상품권으로 신청 가능(지자체별 준비 유형 다름). 거동 불편 시 ‘찾아가는 신청’ 문의.

은행 영업점(카드 연계): 9~16시 내 방문해 신용·체크카드 충전형으로 신청.

어디서 쓸 수 있나요?

원칙: 연 매출 30억 원 이하 가맹점. 전통시장, 동네마트, 음식점, 카페, 미용실, 안경점, 학원 등 생활 밀착형 업종 대부분이 포함됩니다. 일부 병·의원 등도 매출 기준을 충족하면 사용 가능하니 카드사 지도/가맹점 검색으로 미리 확인하세요.

꼭 챙길 체크리스트

가구·소득 기준(상위 10%) 최종 공지 확인: 건강보험료 부과 방식, 1인·맞벌이 특례 등 세부 기준이 확정되면, 행안부·카드사 공지가 동시에 업데이트됩니다. 이때 대상자 여부가 최종 결정됩니다.

가맹점 확인 후 결제: 간판만 보고 결제했다가 “대상 외 매장”이면 할인·적립이 안 됩니다. 카드사 앱의 ‘사용처 찾기’ 기능을 먼저 켜두세요.

마감일 관리: 신청 10.31(금), 사용 11.30(일). 기한 지나면 환불 불가·자동 소멸입니다. 일정 앱에 두 번(신청/사용) 등록 추천.

가계 예산과 함께 설계: 생필품·교육·의료·교통 등 고정지출 구간에서 우선 사용하면 체감 혜택이 큽니다. 소진 목적 소비보다 필수지출 대체 전략이 유리합니다. (정책 취지도 ‘생활밀착형 소비 활성화’입니다.)



 

마무리: 놓치지 않으려면 ‘세 줄 요약’


언제? 2차는 9/22(월)~10/31(금) 신청·지급, 11/30(일)까지 사용.

누가? 원칙적으로 전 국민 90%, 상위 10% 제외(세부 판정은 행안부 등 최종 공지 예정).

얼마? 2차 10만 원 추가(1차와 합산해 최대 50만~55만 원까지 사례 존재). 연 매출 30억 이하 가맹점에서 사용

 

 

반응형